728x90 반응형 구약 --------------------/호세아17 호 6장 1-3절(오라, 우리가 여호와께로 돌아가자!) - 이백민 호6장 1-3 오라, 우리가 여호와께로 돌아가자! 이백민 목사 2009.12.27 브니엘교회 [호주] http://ghttp://gcpeniel.org/xe/ 사람은 쉬지 않고 살 수 없습니다. 하나님께서도 사람이 쉬어야 할 것을 아시고 잠을 주시고 안식일을 주셨습니다. 시간이 모자라 쉬지 않고 뭔가를 하려는 사람들도 많이 있습니다. 몇 년 전에 컴퓨터 오락에 빠져서 몇 일 동안 잠을 자지 않고 컵라면 먹으며 계속 오락만 하다가 결국 쓰러져 죽은 사람도 있었습니다. 적당하게 쉬는 것은 성도에게 큰 복입니다. 쉬어야 할 때 쉬는 사람이 복 받은 사람입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 안식일을 제정하시고 그 날을 복 있게 하셨습니다. (창 2:2) 하나님이 그가 하시던 일을 일곱째 날에 마치시니 그가 하시던 모든 일.. 2023. 7. 23. 호 6장 1-3절(힘써 여호와를 알자) - 허창수 호6장 1-3 힘써 여호와를 알자 허창수 목사 18.06.03 동성교회 [창원시] https://https://cafe.daum.net/huhcs48/ 우리나라가 남과 북으로 나누워진 것처럼 이스라엘도 솔로몬 왕이 죽은 후에 남과 북으로 나누어졌습니다. 사마리아를 중심으로 북쪽을 이스라엘이라고 하며,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남쪽을 유다라고 하였습니다. 해마다 명절이 되면 이스라엘 사람들이 예루살렘 성전에 올라가서 하나님께 제사를 지내므로 여로보암 왕이 세겜에 두 금송아지 우상을 만들어 세우고 애굽에서 인도하여 낸 신이라고 하며 섬기게 하고 예루살렘에 올라갈 것 없다고 했습니다(왕상 12:28). 이로 인하여 이스라엘 사람들은 여호와 하나님을 버리고 우상을 섬기기 시작하였습니다. 호세아는 이스라엘의 선지자였지.. 2023. 7. 7. 호 6장 1-3절(힘써 여호와를 알자!) - 이백민 호6장 1-3 힘써 여호와를 알자! 이백민 목사 2013.06.30 브니엘교회 [호주] http://ghttp://gcpeniel.org/xe/ 성경은 하나님을 섬기는 것과 하나님을 아는 것을 같은 의미로 많이 사용합니다. 하나님을 잘 섬기는 것은 하나님을 잘 아는 것이고 하나님을 잘 못 섬기는 것은 하나님을 잘 모르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모세는 하나님을 잘 아는 사람이었습니다. 하나님을 잘 알았기에 하나님을 잘 섬겼습니다. 하지만, 그와 함께 했던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을 잘 알지 못했습니다. 그들이 하나님을 잘 알지 못했을 때 하나님을 잘 못 섬겼습니다. 모세가 말씀을 받기 위해 잠시 이스라엘 백성들을 떠났을 때 그들은 그들 스스로 하나님을 만들어 내고 그들이 만든 하나님을 섬겼습니다. 하나님을 .. 2023. 6. 30. 호 6장 1-3절(힘써 여호와를 알자!) - 이백민 호6장 1-3 힘써 여호와를 알자! 이백민 목사 2010.01.17 브니엘교회 [호주] http://ghttp://gcpeniel.org/xe/ 자신이 하나님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 생각해 보신 적이 있습니까? 내가 알고 믿는 하나님은 내가 알고 믿는 만큼 나에게 위대하고 크신 하나님이 될 수도 있고 수치스럽고 소개하기도 부끄러운 하나님이 될 수도 있습니다. 어떤 성도가 비행기를 타고 가면서 옆에 앉은 사람에게 복음은 전해야겠다는 생각이 마음에 계속해서 떠 올랐습니다. 그런데, 옆에 앉은 사람이 부유하고 거만하게 보여 복음을 전하기 어렵겠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대화가 시작되었을 때 그 부자는 자신의 가진 재산과 사업에 대해 자랑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의 자랑이 다 끝난 후에 “선생님에 대해서도 제게 .. 2023. 6. 27. 호 6장 1-3절(이틀 후와 셋째 날의 감사) - 안효관 호6장 1-3 이틀 후와 셋째 날의 감사 안효관 목사 2017-07-02 전주남성교회 https://https://www.nsc.or.kr/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공자(孔子)가 젊을 때 길을 가다가 좀 이상해 보이는 한 노인을 만났습니다. 이 노인은 계속 싱글벙글 웃고, 심지어 춤을 추며 기뻐했습니다. 그런데 더 이상한 것은 지나가는 사람들이 그 노인에게 공손히 인사를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 모습이 너무도 이상하여 이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도대체 어떤 노인이기에 사람들이 저리도 예의를 다해 인사를 하는 거지? 이 나라에서 나를 모르는 사람이 거의 없고 또 다들 나를 존경하는데, 나를 보고는 인사를 안 하고 언뜻 보기에 정신 빠진 저 노인에게 다들 인사를 하는 것일까?’ 그래서 공자는 노인에게 다가.. 2023. 6. 23.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